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도시가스요금 계산법과 절약법

by 오늘의 정보1 2023. 2. 12.

오늘은 여러분께 가스요금 절약 꿀 팁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겨울철 난방비와 여름철 냉방 비 걱정 많이 되시죠? 특히나 혼자 사시는 분들은 보일러 켜놓고 출근하면 요금폭탄 맞을까 봐 불안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준비했습니다. 우리 집 가스요금 줄이는 방법! 지금부터 같이 알아보겠습니다.

도시가스요금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려 드리겠습니다.

도시가스 요금 계산 방법

  • 기본요금은 2023년 2월 1일 현제 서울시 기준으로 1.000원입니다.
  • 주택용: {(사용량 X 보정계수) X 평균열량 X 요금단가 + 기본료 + 교체비} + 부가세 (10%)
  • 기타 용도:기타 용도 {(사용량 X 보정계수) X 평균열량 X 요금단가 + 교체비} + 부가세 (10%)
  • ※평균열량이란 해당 기간의 월간가중평균열량 (MJ/Nm³)

우리나라에서는 도시가스 회사마다 다른 방식으로 계량하기 때문에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대부분 사용량(m3)*단가=청구금액 이렇게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00평 아파트 거주자 A 씨가 하루 2시간씩 한 달 동안 22도로 설정해서 가동했다면 청구되는 금액은 (기본료) 1041원*22 물론 이 단가는 계절별/월별로 변동될 수 있습니다.)

도시가스 요금을 조회

정확한 도시가스 요금을 조회하기 위해서는 납부자 번호를 알고 계셔야 합니다. 도시가스 고객센터(1588-5788)로 문의하시거나 한국도시가스협회 홈페이지로 가서 알아볼 수 있습니다. 홈페이지 상단 메뉴 중 '요금안내' 탭을 선택하면 각 지역별 도시가스 회사별로 해당 월 사용량과 금액을 알 수 있습니다. 삼천리 고객센터로 전화해서 문의하셔도 됩니다.

보일러 온도조절기로 실내온도 몇 도로 해야 적당한가요?

실내온도는 18~20도 사이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왜냐하면 너무 높은 온도로 설정하게 되면 바닥과 공기 모두 건조해져서 피부건강 및 호흡기 건강에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온수사용량이 늘어나면 그만큼 가스소비량도 증가하므로 가급적이면 온수사용 후 수도꼭지를 냉수방향으로 돌려놓으시는 습관을 들이시는 게 좋습니다.

난방비 폭탄 피하는 방법 없나요?

겨울철 외출 시엔 보일러를 끄는 대신 외출모드를 활용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잠깐이라도 전원을 끄게 되면 다시 재가 동 될 때 많은 양의 가스가 소모되기 때문입니다. 18~20도로 실내온도를 맞춰놓고 나가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온수사용 시에만 보일러를 켜면 훨씬 절약됩니다. 그리고 주기적으로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해 주는 작업을 하면 열효율이 높아져서 적은 양의 가스로도 효율적인 난방이 가능해집니다. 마지막으로 정기적으로 보일러 필터를 청소해 주면 연료절감 효과를 보실 수 있습니다. 겨울철엔 창문과 문틈 사이로 들어오는 바람만으로도 체감온도가 확 떨어집니다. 이럴 때 뽁뽁이를 붙이면 단열효과가 있어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답니다. 또한 바닥에 카페트나 러그를 깔아 두면 온기가 오래 유지돼서 더욱 효율적입니다.

온수매트 vs 전기장판 어떤 걸 써야 할까요?

전기장판은 전자파 걱정이 있고 화재위험성이 있지만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과가 뛰어나고 온수매트는 전자파걱정이 없고 안전하지만 따뜻해지는데 시간이 좀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출시되는 온수매트는 빠르게 데워지는 장점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름 에어컨 전기세 폭탄 피하는 방법 있나요?

에어컨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희망온도를 너무 낮게 설정하거나 오래 틀어두면 실외기가 쉬지 않고 돌아갑니다. 이 경우 전기요금이 어마어마하게 나온다고 하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제습기능보다는 냉방기능을 이용해야 에너지 효율이 좋다고 합니다. 이렇게 간단한 팁만으로도 충분히 가스요금을 줄일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겨울과 여름 철 필수품인 만큼 우리 모두 아껴 써서 따뜻한 겨울 보내도록 하세요. 그럼 여기까지 가스요금 아끼는 방법이었습니다.

댓글